제약 조건(constraints)을 적용하여 레이어 크기 조정 방법 정의
제약 조건은 프레임 크기를 조정할 때 개체가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Figma에 알려준다. 이를 통해 다양한 화면 크기와 장치에서 디자인이 어떻게 보이는지 제어할 수 있다.
아래 비디오를 확인하거나 계속해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.
수평(horizontal) 및 수직(vertical) 제약
x(수평) 및 y(수직) 축 모두를 따라 제약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.
Note: 기본적으로 객체의 Constraints를 Top 및 Left로 설정합니다.
수평(horizontal) 제약
수평 제약 조건은 x축을 따라 프레임 크기를 조정할 때 개체가 동작하는 방식을 정의한다.
- 왼쪽(Left)은 프레임의 왼쪽을 기준으로 개체의 위치를 유지한다.
- 오른쪽(Right)은 프레임의 오른쪽을 기준으로 개체의 위치를 유지한다.
- 왼쪽과 오른쪽(Left and right)은 프레임의 양쪽을 기준으로 개체의 크기와 위치를 유지하며, 이로 인해 크기가 조정될 때 개체가 x축을 따라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.
- 센터(Center)는 프레임의 수평 가운데를 기준으로 한 객체의 위치를 유지한다.
- 배율(Scale)은 개체의 크기와 위치를 프레임 치수의 백분율로 정의한다. 그런 다음 크기를 조정할 때 해당 비율을 유지한다.
예: 프레임의 너비는 100px이고 개체의 너비는 70px이다. 즉 개체가 상위 프레임의 70%를 차지한다. 프레임의 크기를 200픽셀로 조정하면 Figma는 개체의 너비를 200픽셀의 70%인 140픽셀로 조정한다.
수직(vertical) 제약
수직 제약 조건은 y축을 따라 프레임 크기를 조정할 때 개체가 동작하는 방식을 정의한다.
- 상단(Top)은 프레임 상단을 기준으로 개체의 위치를 유지한다.
- 하단(Bottom) 은 프레임 하단을 기준으로 개체의 위치를 유지한다.
- 위쪽 및 아래쪽(Top and bottom) 은 프레임의 위쪽 및 아래쪽을 기준으로 개체의 크기와 위치를 유지한다. 이로 인해 크기가 조정될 때 객체가 y축을 따라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.
- 센터(Center)는 프레임의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한 객체의 위치를 유지한다.
- 배율(Scale) 은 개체의 크기와 위치를 프레임 치수의 백분율로 정의한다. 그런 다음 크기를 조정할 때 해당 비율을 유지한다.
Note: 개체의 위치에 따라 둘 이상의 제약 조건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개체에 제약 조건 적용
Frame 내의 모든 객체에 제약 조건(Constraints)을 적용할 수 있다.
- 다른 프레임 내에 중첩된 프레임에 제약 조건을 적용할 수도 있다.
- 객체에 수평 및 수직 구속조건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.
- 제약 조건을 사용하여 스크롤링 프로토타입에서 객체가 응답하는 방식을 정의할 수 있다. Figma의 프로토타이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.
- 그룹(Group)에는 제약 조건을 적용할 수 없다. 그룹은 그 안에 포함된 객체로부터 경계를 상속한다. 경계가 있는 단일 개체로 간주되지 않는다.
Note: 그룹에 제약 조건을 적용하면 대신 개별 개체에 제약 조건을 적용한다.
항목에 대한 제약을 설정하려면 다음을 수행한다.
- 프레임 내에서 개체 또는 부모를 선택한다. 캔버스의 파란색 점선은 현재 적용된 제약 조건을 보여준다.
- 속성 패널의 제약 조건 설정에서 수직 및 수평 제약 조건을 조정한다.
- 드롭다운 메뉴를 사용하여 개체의 제약 조건을 설정한다.
- 또는 대화형 다이어그램의 선을 클릭하여 제약 조건을 선택한다.
- 스크롤할 때에도 개체가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려면 스크롤할 때 위치 고정(Fix position when scrolling) 옆에 있는 확인란을 선택한다.
Tip! 누른 상태에서 Shift하나 이상의 제약 조건을 선택한다. 예: 왼쪽 및 오른쪽 제약 조건.
제약 조건 무시
적용되는 제약 조건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이나 레이어의 크기를 조정하려는 경우가 있다. 수정자 키를 누르고 있으면 레이어에 적용된 제약 조건을 일시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.
- MacOS:
⌘ Command 크기 조정 시 길게 누르기 - Windows:
Ctrl 크기를 조정할 때 길게 누르기
제약 조건 및 레이아웃 그리드
제약 조건은 프레임 내에서 레이어를 배치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. 보다 복잡한 디자인의 경우보다 정밀한 제어와 유연성이 필요하다. 이렇게 하면 크기가 조정될 때 디자인이 작동한다.
여기에서 그리드가 작동한다. 프레임 내에서 그리드를 사용하면 Figma는 프레임 내의 모든 레이어를 해당 그리드에 정렬한다. 제약 조건 및 레이아웃 그리드 작업 →
출처 : Figma Constraints